최근 비트코인이 최대 8천만 원 선까지 상승하였다가 현재 7천만 원 초반대에 자리 잡은 점 등 비트코인으로 다시금 투자금이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오히려 반대로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이러한 변동성 리스크를 고려하여 '금 가격'의 강세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같이 비트코인이 최고점을 돌파한 상황에서 만일 급락 상황이 발생된다면 일부 전문가들의 전망 처럼 안전자산이 금 투자로의 전환이 갑작스럽게 발생될 수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금 투자 전망
금 투자 전망에 보도에 따르면 블룸버그통신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안전자산이 금에 돈이 몰릴 가능성이 크다'라고 보도하였으며 금 생산업체 골드 로열티의 가로팔로 회장은 '투자자들이 금 투자에 주목한다면 트로 이온 스당 가격이 3000달러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금 생산업체를 운영하는 롭 맥거윈 회장도 '만일 3000달러까지 상승한다면 장기적으로 5000달러까지도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는 등 금 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여러 차례 보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 시세
국내 및 국제 금 시세는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해 쉽게 조회하실 수 있으며 현재 시세로 볼 떄 2020년 중반 최고점을 찍은 후 어느 정도 금 시세가 하락한 상황입니다.
한국 금 거래소 시세에 따르면 24k Gold-3.75g의 거래 가격은 10.27일 기준 290,000원 정도로 시세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금 거래 시세는 일일 단위로 업데이트되므로 상시 시세 파악이 가능한 점이 있습니다.
금 투자방법
가장 대표적인 금 투자 방법에는 쉽게 아래와 같이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현물 매입) 실제 금 현물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매매 수수료가 높고 금 제작과정에서 세공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실물로 수령 시 수수료 뿐만 아니라 10%의 부가세까지 적용되기 때문에 투자목적으로는 적당하지 않은 방법에 해당됩니다.
(2) (골드 뱅킹) 골드 뱅킹은 시중 은행에 일정 금액을 입금하면 금으로 적립되는 방법입니다. 다만 골드뱅킹을 운영하는 시중 은행이 적으며 차익 실현 시 15.4%의 세금을 납부해야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시로 KB에서 운영하는 KB 골드투자통장이 있습니다.
(3) (금 ETF) 금 ETF는 가장 추천하는 금 투자 방법으로 금 관련 지수에 간접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국내에서 운영 중인 대표적인 금 ETF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중 레버리지나 인버스는 일반적인 투자자분들이 리스크 대응이 어려울 수 있음에 따라 상대적으로 KODEX 골드선물과 TIGER 골드선물을 추천드리고자 합니다.
-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H)
- KODEX 골드선물(H)
- TIGER 골드선물(H)
- KODEX 골드선물 인버스(H)
금 ETF
TIGER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은 이름처럼 미국 상품거래소에 상장된 금 선물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된 S&S GSCI GOLD Total Return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지난 3년 시세를 보시면 앞서 소개드린 금 시세와 거의 동일한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ODEX 골드선물
KODEX 골드선물 또한 TIGER 골드선물과 마찬가지로 미국상품거래소에 상장된 금선물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된 S&S GSCI GOLD Total Return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3년 시세 또한 TIGER 골드선물의 3년 시세와 동일한 추이입니다.
ETF 투자의 경우 해당 상품이 장기적인 우상향을 전제로 장기간 매월 일정한 금액을 불입할 때 보다 이점이 있는 상품입니다. 다시 말해 금에 대한 장기적인 성장성을 믿고 계신 분이라면 투자할 만한 상품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굳이 금 관련 상품에 투자할 필요는 없어 보이는 게 제 생각입니다.
금 시세 전망 및 투자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였습니다. 모두 성공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