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메타버스 관련주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메타버스란 용어가 다소 생소하실 수도 있는데요. 메타버스는 '가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입니다. 언뜻 가상현실과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가상현실임에도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존의 가상현실보다 한 단계 더 진보한 3차원 가상현실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코로나19 판데믹 상황에서 메타버스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메터 버스 사례로는 '세컨드라이프', '트위니 티' 등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가 있습니다. 아쉽게도 아직까지 세컨드라이프의 경우 한글 버전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메타 버스 관련주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버스 관련주
- 네이버
- 엔씨소프트
- 위지윅스튜디오
- 자이언트 스텝
- 맥스트
네이버
네이버는 두말할 필요 없이 모든 IT 서비스 관련한 대한민국의 가장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네이버와 메타버스의 관련성은 네이버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제페토(ZEPETO)' 때문입니다. 제페토는 앞서 설명드린 메타버스의 개념처럼 가상현실 세계에서 각종 사회, 문화, 경제 활동 들을 적용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정도가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네이버 주가는 현재 조정 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들 잘 아시다시피 정부에서 카카오와 네이버와 같은 공룡 플랫폼 들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규제하겠다는 발표 이후부터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는 카카오는 투자하고 있지 않지만 네이버에는 투자하고 있는데요. 네이버의 기존 사업만을 고려하여도 앞으로도 계속해서 충분히 성장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에서 입니다.
엔씨소프트
우리나라 대표적인 게임기업인 엔씨소프트에서도 메타버스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리니지 M이나 블레이드 소울 등과 같은 게임 종류는 아니고 K-POP Entertainment Platform 인 유니버스입니다. 아무리 엔씨소프트가 욕을 많이 먹고 있는 상황이지만 시장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고 소비자를 유혹하는 능력은 탁월해 보입니다. K-POP에 기반한 메타버스의 성장성은 전 세계적으로 그 여파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엔씨소프트의 주가는 현재 반토막난 상황입니다. 엔씨소프트에서 운영하는 게임(리니지 등)에서 제공하는 극악의 확률의 카드 뽑기 등 소비자들이 등을 돌리게 만든 상황 때문인데요. 이 부분은 저도 리니지를 했던 유저로써 상당히 공감하나 엔씨소프트에서 다른 어떤 기업보다 소비자와 시장 상황을 굉장히 잘 이해한 데에서 비롯된 결과로 보입니다. 물론 어느 정도 적당선이 필요하나 그 선을 넘은 것은 당연히 문제가 되는데요. 저는 이러한 엔씨소프트의 능력을 인정하기 때문에 다시금 반등할 능력이 충분히 있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위지윅 스튜디오
위지윅 스튜디오는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으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확장 현실(XR)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역량을 갖추고 있는 회사로 알려져 메타버스 관련주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최근 9월 LG 계약 광고회사 HS애드는 위지윅 스튜디오와 3차원 가상세계에서 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MOU(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메타버스 관련주로서 그 힘을 더 얻고 있습니다.
위지웍 스튜디오 주가는 1년 사이 상당한 상승을 하였는데요. 메타버스 관련주로서의 관심이 집중됨에 따른 상승으로 보이며 아직까지 재무적인 기반은 다소 리스크가 있어 보입니다. 그럼에도 앞으로의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성을 기대하시는 분들은 미래 가치를 고려하시어 소량의 투자를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자이언트 스텝
자이언트 스텝은 위지윅 스튜디오와 유사하게 광고 VFX, 영상 VFX 및 리얼타임 콘텐츠 등 AI 기반의 다양한 콘테츠를 제작하는 광고,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 기업입니다. 자이언스 스텝은 위와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일게이트 등 여러 기업과 체결한 업무협약 등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자이언트 스텝은 공모가 약 1만 원 대비 약 7배가량 상승하여 현재 주가는 7만 원 중반대에 안착된 상태입니다. 위지윅 스튜디오와 마찬가지로 메타버스 테마로 인해 큰 상승을 지속하다가 현재 어느 정도 주가가 조정되고 있는 상태로 보입니다. 메타버스 산업은 장기투자가 필요한 종목으로 알짜 기업을 잘 선별하시어 투자방향에 반영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맥스트
맥스트 또한 위와 유사하게 AR원천기술 개발을 하는 업체로 업종은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입니다. 맥스트는 올해 기업공개(IPO)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높은 일반청약 경쟁률인 6762.8 대 1을 기록하였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증강현실 앱을 만들 수 있는 저작도구를 갖고 있다고 하네요. 지난 17일 종가는 5만 2700원으로 공모가 1만 5000원 대비 250% 이상 상승한 상황입니다.
메타버스 관련주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면 될 것 같습니다. 네이버와 엔씨소프트 같은 플랫폼(스마일게이트, 컴투스 등등 더 많이 있습니다)에 투자할지 아니면 가상현실 기술을 보유한 코스닥 기업에 투자할 지로 구분될 것 같은데요. 전자와 같은 경우 투자의 위험성이 적은 반면 기대수익도 마찬가지로 적을 수가 있고 후자의 경우는 그 반대가 될 수 있습니다. 투자하시는 분의 성향에 맞춘 투자 방향 설정을 고려하시어 현명한 투자, 성투하실 수 있는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