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과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투자기업

by J-story 2021. 7. 4.

배경사진 :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나온 냉동생선튀김(틱톡영상)

 

미세 플라스틱? 

 

미세 플라스틱은 5mm 미만 크기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합니다. 미세먼지와 같이 처음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었지만 국제 환경단체 등에서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생태계 및 인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빈번하게 보도함에 따라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우려를 어느 정도는 갖고 있습니다. 

 

자극적이지만 '매주 카드 1장씩 삼켰습니다'라는 기사 제목이 게재될 만큼 우리 생활 속에서 잘은 모르지만 섭취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양은 무시하지 못할 정도가 되고 있습니다. 화장품, 치약 및 생수통 등 필수적인 물품 들을 통해 우리도 모르게 우리 몸에 지속적으로 축적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미세 플라스틱도 국제적인 탄소저감배출 제도를 통한 국가 별 탄소배출량을 제한을 따라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제제가 국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탄소만큼은 아니나 미세 플라스틱이 우리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선제적인 이슈화로 지금이라도 피해를 최소화하고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주 

 

일반 원유로 제조하는 플라스틱에 대응하여 친환경 원료를 위한 플라스틱 제조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는 바이오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며 아직 전 세계적으로 제조기술 확보 노력을 진행 중인 상태입니다. 핵심소재는 전분으로 만들어지는 PLA와 미생물로 만들어지는 PHA입니다.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에 투자하는 기업은 아래와 같이 몇 군데가 있습니다. 다만 바이오 플라스틱에 매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끼칠지는 순이익을 많이 가져다 줄지는 아직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기업의 이익을 떠나 친환경 정책을 표방하며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에 일조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LG화학 및 CJ제일제당 주가(출처:네이버주식)

 

CJ제일제당은 친환경사업인 '화이트 바이오' 사업 추진을 위해 국내 고분자 성형 합성 전문 업체인 HDC현대와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바이오 플라스틱을 대량생산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해당 제품은 향후 식품 포장재 및 자동차 제조 시 등에 활용될 계획입니다.  

 

LG화학은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등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자금 조달을 위해 그린본드 채권을 최근 발행하였으며 그 규모는 약 1조에 달합니다. 이와 같이 LG화학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목적으로 전통 화학기업에서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의 변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 및 화학 제조 대표기업인 CJ제일제당과 LG화학에서 친환경 정책을 내세워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개발에 일조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 깊습니다. 이와 같은 대기업들의 모범적인 선례를 통해 국내 기업 전반에 선한 영향을 끼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